Spring boot를 활용한 프로젝트 준비나 작업들을 진행해가면서 JPA를 활용하게 되었는데, 그러다 보니 JPA에서 사용하는 Hibernate, Proxy를 이해해나가다가 Entity와 Dto를 분리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왜 분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하기로 생각해 이 글을 쓰고있다. 일단 분리하는 이유에 대해 말하기 전에 Entity와 Dto에 대해 간단하게 정의를 하고 넘어가겠다. DTO(Data Transfer Object) :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된 객체Entity :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객체로, 데이터베이스와 직접적으로 연결 Entity와 Dto의 분리 이유 🙂Entity의 보호, 보안사용자들에게 Entity를 공개한게 된다면 테이블을 공개하..